본문 바로가기
금연금주

알콜 중독을 정신 질환의 한 종류로 여기는 이유와 근거 금주, 필요성

by 라임라인 2024. 12. 14.
반응형

알콜 중독의 심리적 영향: 알코올 중독은 단순한 신체적 질병을 넘어, 환자의 정신과 심리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어떤 전문가는 알콜 중독이 자기혐오, 불안, 우울증, 죄책감, 심지어 자살 충동까지 유발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이러한 심리적 문제들은 정신 질환의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알콜 중독이 정신 질환이라는 근거

 

 

 

이론적 근거

프로이트는 인간의 중독 행동을 갓난아기 시절의 자기 성 만족 행동으로 퇴행하는 것으로 보았습니다. 이러한 퇴행은 만족감과 함께 죄책감과 자존심 손상을 동반하며, 이는 결국 불안을 야기하여 술, 담배, 약물 중독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만든다는 점을 이론적 근거로 대고 있습니다. 이외에 정신분석적인 측면에서 알코올 중독자의 성장 발달 단계가 구강기에 고착되었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는 자기애, 수동성, 의존성 등 유아적 특징을 보이며, 초기 소아 시절의 심각한 박탈 (부모로부터의 미움, 무시, 거절) 후에 발하는 것과 유사하게 보고 있습니다.

 

행동 특징

  • 과잉보호: 과잉보호 또는 어린 시절의 과도한 책임감 또한 알코올 중독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강박적 성격: 많은 알코올 중독자는 술에 취하지 않았을 때 강박적인 성격을 보이며, 완벽주의, 절제, 감정 억압 등의 특징을 나타냅니다.
  • 무가치감: 알코올 중독자는 어려서부터 무가치감, 부적절감, 자존심 부족을 경험하며, 이를 억압하고 부정하며, 남들로부터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를 갖게 됩니다.
  • 의존적 욕구: 이러한 의존적 욕구가 채워지지 않아 불안이 발생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술을 찾게 됩니다. 술은 일시적으로 힘을 가진 기분을 느끼게 해주지만, 술에서 깨어난 후에는 죄책감과 절망감이 더욱 커져 악순환이 반복됩니다.

 

자신의 상태 부정과 현실 왜곡

아래의 글을 보면 어쩌면 지금의 내가 알콜 중독이 아닐까 생각해 보게 됩니다.

  • 합리화: 알콜 중독자는 자신의 상태를 부정하고, 술을 마시는 행동을 정당화하며 합리화합니다. 예를 들어, "나는 술을 조절할 수 있다", "나는 아직 직장과 가정을 잃지 않았다", "다른 사람들도 다 술을 마신다" 등의 생각으로 자신의 중독을 부정합니다.
  • 투사: 자신의 문제를 다른 사람이나 환경 탓으로 돌립니다. 예를 들어, "내가 술을 마시는 것은 직장 스트레스 때문이다", "아내가 나를 이해하지 못해서 술을 마신다" 등으로 자신의 책임을 회피합니다.
  • 기억 왜곡: 술에 취했을 때의 기억을 왜곡하거나, 불쾌한 기억을 억압합니다. 술에 취해 실수를 저지르거나 폭력적인 행동을 해도 기억하지 못하거나, "그때는 기분이 좋았다"는 긍정적인 기억만 남기기도 합니다.
  • 일시적 기억상실: 술을 마신 후 일정 시간 동안의 기억을 완전히 잃어버리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이는 알코올이 뇌에 미치는 영향으로 인한 것으로, 자신의 행동을 기억하지 못하게 되어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하게 됩니다.

 

 

 

 

 

알콜 중독의 상태 요약

알콜 중독 상태는 자신의 중독 문제를 부정하고 합리화하며 투사, 억압 등의 방어기제를 통해 현실 인식을 왜곡한다는 점입니다. 여기서 위험한 부분은 기억 체계의 왜곡입니다. 일시적 기억상실, 억압, 기분 좋은 기억 등의 현상은 현실 판단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정신적인 불안정을 가중시킵니다.

 

참고. 알콜중독 자가진단 테스트

 

알코올중독 자가진단

▶ 알코올중독 자가진단 (AUDIT-K)function hmsoft() { var inputs = document.getElementsByTagName("input"); var radios = new Array(); var idx = 0; for(var i=0;i

www.savealcoholics.org

 

 

 

대처방안

이러한 부정과 왜곡은 알코올 중독자가 자신의 문제를 제대로 인지하고 치료를 받는 것을 어렵게 만듭니다. 이러한 근거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이 글은 알코올 중독을 정신 질환으로 규정하고, 그 심각성을 인식해서 적극적인 치료에 나서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렇게 판단됐을 때는 주변 사람들의 도움과 적극적인 개입이 중요하며, 전문적인 치료를 통해 현실을 직시하고 건강한 삶을 회복하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제를 인식했다면 금주를 한 사람들 또는 전문가를 만나 상의하는 것이 유일한 해결책일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