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리도구

일일일식 간헐적 단식 중 탄산수는 마셔도 될까? 생수와 차이는?

by 라임라인 2025. 7. 1.
반응형

탄산수와 생수는 모두 '물'을 기반으로 하지만, 탄산 함유 여부와 그로 인한 특성, 분류, 용도에서는 차이가 있습니다. 하지만 일일일식, 간헐적 단식 등 공복을 중요시 여기는 프로그램에서 미치는 영향은 없습니다. 생수와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생수와 탄산수

1. 생수 (먹는 샘물)

'생수'의 정확한 법적 명칭은 '먹는 샘물'입니다. 지하수나 용천수와 같이 자연적으로 형성된 샘물을 음용에 적합하도록 최소한의 여과 및 살균 과정을 거쳐 제조한 물을 의미합니다. 인위적으로 물의 성분을 조작하거나 첨가하지 않습니다.

 

 

 

특징

주로 수분 보충, 갈증 해소, 일상적인 음용을 목적으로 하는 물로 외부 첨가물이 거의 없습니다.

 

  • 탄산 없음: 탄산이 전혀 함유되어 있지 않은 일반적인 물입니다.
  • 미네랄 함유: 자연 상태의 샘물이기 때문에 지역별 수원지에 따라 다양한 미네랄(칼슘, 마그네슘, 칼륨, 나트륨 등)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이 미네랄 성분 덕분에 각 생수마다 고유의 맛과 특성을 가집니다.
  • pH: 대체로 중성 또는 약알칼리성을 띱니다.
  • 법적 분류: 환경부의 '먹는 물 관리법'에 따라 관리됩니다.

 

2. 탄산수 (스파클링 워터)

물에 이산화탄소(탄산가스)를 인위적으로 주입하여 만든 물을 의미합니다. 간혹 자연적으로 탄산가스를 함유한 '천연 탄산수'도 있지만, 시중에 유통되는 대부분의 탄산수는 인공적으로 탄산을 주입한 것입니다. 당분이나 향료 등 다른 첨가물이 없는 것을 순수한 탄산수로 분류합니다. 

 

특징

주로 청량감과 상쾌함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음료 대용으로 마시거나, 요리 재료(칵테일, 에이드 등)로 활용합니다. 소화 촉진에 도움을 주거나 변비 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 탄산 함유: 이산화탄소가 녹아 있어 특유의 톡 쏘는 청량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 미네랄 함유: 제품에 따라 미네랄 함유 여부 및 함량이 다릅니다. 정제수에 탄산을 주입한 경우 미네랄이 거의 없거나 인위적으로 첨가된 경우가 많고, 먹는 샘물에 탄산을 주입한 경우 자연 미네랄을 함유할 수 있습니다. (예: 페리에, 게롤슈타이너 등 일부 해외 브랜드는 천연 미네랄 탄산수)
  • pH: 이산화탄소가 물에 녹으면 탄산이 형성되어 약산성을 띠게 됩니다. (pH 2.5~3.7 정도) 이 때문에 과도한 섭취 시 치아 부식이나 위장 부담을 유발할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합니다.
  • 법적 분류: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품유형' 상 '탄산음료류'에 속하며, '음료'로 분류됩니다. (천연 탄산수는 예외적으로 '먹는 샘물'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탄산수 동원 미네마인 광동 아이스웨일 탐사 아쿠아 스파클링의 차이

평소 탄산수를 많이 구비해 두고 있습니다. 잠이나 감각을 깨우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쿠팡에서 탄산수를 검색할 때 동원 미네마인, 광동 아이스웨일, 쿠팡의 탐사 아쿠아 스파클

code004.tistory.com

 

 

차이점 요약

분류 항목 생수 (먹는 샘물) 탄산수 (스파클링 워터)
탄산 유무 없음 있음 (이산화탄소 주입 또는 천연 함유)
원수 지하수, 용천수 등 자연 샘물 정제수 또는 먹는 샘물에 이산화탄소 주입
미네랄 자연적으로 함유 (수원지별 상이) 제품에 따라 다름 (정제수 베이스는 거의 없음 또는 첨가)
맛/식감 깔끔하고 부드러움 톡 쏘는 청량감
pH 중성 또는 약알칼리성 약산성
법적 분류 먹는 물 관리법 ('먹는 샘물') 식품위생법 ('탄산음료류', 음료로 분류)
주요 용도 수분 보충, 일상 음용 청량감 선호, 음료 대용, 칵테일/에이드 재료

 

요약

생수는 탄산이 없는 '물' 그 자체이며, 탄산수는 물에 탄산을 첨가하여 톡 쏘는 맛을 내는 '음료'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