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연금주

알콜 중독 프로그램 알콜 중독자 익명 모임 AA, Alcoholics Anonymous

by 라임라인 2025. 5. 15.
반응형

AA를 처음 알게 된 것은 "습관의 법칙"이라는 책에서였습니다. 알코올 중독을 습관 변화로 치료한다는 이야기에서 놀라웠습니다. 알코올 중독이나 흡연과 같이 개인 스스로 극복하기 어려운 부분을 심리적인 힘으로 개선한다는 것이 놀라웠기 때문입니다.

 

습관의 변화 AA

알코올 중독자 익명 모임 (Alcoholics Anonymous)

알코올 중독자 익명 모임 (Alcoholics Anonymous, AA)은 알코올 중독으로부터 회복하려는 사람들이 서로의 경험, 힘, 희망을 공유하며 함께 단주를 이어가는 국제적인 비영리 자조 모임입니다. 1935년 미국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으며, 한국에도 1970년대 후반에 소개되었습니다.

 

 

 

 

습관의 힘

습관과 관련한 많은 서적에서 '알코올 중독 치료에 효과를 보이는 AA(Alcoholics Anonymous)'를 습관 변화의 강력한 사례로 언급합니다. "The Power of Habit (습관의 힘)"이라는 책에서 AA의 성공 요인을 습관의 "고리 (Cue-Routine-Reward)" 모델로 분석하며, 기존의 파괴적인 습관(음주)을 새로운 긍정적인 습관(모임 참석, 상담 등)으로 대체하는 메커니즘을 설명합니다.
이 책에서는 AA 모임 참석이라는 "Routine"이 술을 마시고 싶은 "Cue"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 작용하고, 소속감, 안정감, 회복이라는 "Reward"를 제공함으로써 습관 변화를 이끌어낸다고 제시합니다. 또한, AA의 12단계 프로그램 자체가 신념 변화와 새로운 정체성 형성을 통해 장기적인 습관 변화를 지향한다고 설명하기도 합니다.

 

왜 관심을 갖는가?

음주라는 습관을 개선하는 방식이 마약이나 흡연, 음식 과다섭취 등과 같이 우리에게 불필요한 행동을 개선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생각해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12단계 프로그램

프로그램 내용을 보면 영적인 활동처럼 보이기도 할 정도로 직접적으로 알코올에 대한 갈망을 없애는 것이 아닌 영적인 문제로 다루고 있습니다. 이 부분이 놀라운 점입니다.

AA의 12단계 프로그램

자신의 알코올에 대한 무력함과 삶의 어려움을 인정합니다.

자신보다 큰 힘이 자신을 온전한 정신으로 회복시켜 줄 수 있다고 믿게 됩니다.

자신의 의지와 삶을 신(자신이 이해하는 대로의)의 돌보심에 맡기기로 결정합니다.

두려움 없이 자신에 대한 도덕적 검토를 합니다.

자신의 잘못의 정확한 본질을 신과 자신, 그리고 다른 사람에게 고백합니다.

자신의 성격 결점들이 제거되도록 완전히 준비합니다.

겸손하게 신에게 자신의 단점을 없애주시기를 간청합니다.

자신이 해를 끼친 모든 사람의 명단을 작성하고, 그들에게 보상할 의지를 갖게 됩니다.

가능하다면 직접적으로 그들에게 보상합니다. 단, 그렇게 하는 것이 다른 사람에게 해가 되지 않는 경우에 한합니다.

자신의 인격적인 검토를 계속하고, 잘못이 있을 때마다 즉시 인정합니다.

기도와 명상을 통해 신과 의식적인 접촉을 증진시키고, 신의 뜻을 알고 따를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이러한 단계를 통해 영적으로 각성하고, 알코올 중독자들에게 이 메시지를 전달하며, 일상생활의 모든 면에서 이러한 원칙을 실천하려고 노력합니다.

 

AA의 역사

AA는 1935년 미국의 알코올 중독자였던 빌 윌슨(Bill W.)과 밥 스미스(Dr. Bob)가 서로의 경험을 나누며 술을 끊기 위해 노력한 것에서 시작되었습니다. 그들의 노력이 결실을 맺으면서 비슷한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과 함께 모임을 갖기 시작했고, 이것이 AA의 시초가 되었습니다. 이후 AA의 경험과 철학을 담은 책 "익명의 알코올 중독자들 (Alcoholics Anonymous)"이 출판되면서 전 세계로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한국에는 1970년대 후반에 미국인 신부에 의해 처음 소개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AA의 주요 특징

  • 익명성 (Anonymity): 모임의 안정과 멤버 보호를 위해 익명성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 자조 모임 (Self-help Group): 멤버들이 서로 지지하고 격려하며 스스로 회복을 돕는 형태입니다. 전문가의 개입보다는 경험 공유를 중심으로 운영됩니다.
  • 비영리, 비종교, 비정치적 (Non-profit, Non-religious, Non-political): 가입비나 회비가 없고 특정 종교나 정치색을 띠지 않습니다. 술을 끊고자 하는 의지만 있다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 12단계 프로그램 (Twelve Steps): AA의 핵심 회복 프로그램으로, 알코올 중독으로부터 벗어나 변화된 삶을 살아가기 위한 12가지 원칙을 제시합니다. 이 단계들은 자신의 무력함을 인정하는 것부터 시작하여 영적인 성장, 과거의 잘못에 대한 보상, 다른 알코올 중독자 돕기 등을 포함합니다.
  • 모임 (Meetings): 정기적인 모임을 통해 멤버들은 자신의 경험을 나누고 다른 이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유대감을 형성하고 동기를 부여받습니다. 모임은 개인적인 이야기를 나누는 '이야기 모임', 특정 주제에 대해 토론하는 '토론 모임', 일반인도 참석 가능한 '공개 모임', 알코올 중독자의 가족을 위한 'Al-Anon', 청소년 자녀를 위한 'Alateen' 등 다양한 형태로 운영됩니다.
  • 스폰서 (Sponsor): 회복 경험이 많은 멤버가 새로 온 멤버의 스폰서가 되어 개인적인 조언과 지지를 제공합니다.
    '오늘 하루만' (One Day at a Time): 장기적인 단주에 대한 압박감 대신, '오늘 하루만 술을 마시지 않겠다'는 마음으로 생활하는 것을 강조합니다.

 

AA 참여 후 성공률

AA의 성공률을 특정 수치로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많은 연구와 임상 경험에서 AA 참여가 단주 유지 및 재발 방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됩니다 (Humphreys & Moos, 2007; Blonigen et al., 2013).

일부 연구에서는 AA와 유사한 12단계 프로그램의 회복 성공률을 약 60% 정도로 추정하기도 합니다. 
AA의 효과는 참여 빈도, 모임 몰입도, 스폰서와의 관계 등 참여의 질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Korea Science, 2021).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AA의 원칙을 따르는 사람들의 성공률이 더 높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금주 약물 치료 성공률

알코올 중독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은 크게 '단주 보조 약물 (예: 날트렉손, 아캄프로세이트, 디설피람)'과 '금단 증상 완화 약물 (예: 벤조다이아제핀 계열)'로 나눌 수 있습니다. 약물 치료의 성공률은 사용되는 약물의 종류, 환자의 특성, 다른 치료와의 병행 여부에 따라 다양하게 보고됩니다. 일반적으로 약물 치료는 금단 증상을 관리하고 초기 단주를 유지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날트렉손은 술에 대한 갈망을 줄이고 재발 위험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AA 참여 성공률 vs 약물 치료 성공률 비교

직접적으로 AA 참여 성공률과 약물 치료 성공률을 비교하는 엄격한 연구는 찾기 어렵습니다. 두 가지 접근 방식은 각각 다른 목표와 작용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AA 약물 치료
사회적 지지, 자조, 영적인 성장을 강조하며 장기적인 회복과 삶의 변화를 목표 생물학적 요인에 작용하여 금단 증상을 완화하고 갈망을 줄이는 것을 목표

 

 

참고, 알콜 중독 치료 현황

최근의 알코올 중독 치료 경향은 단일 치료보다는 약물 치료와 심리 사회적 치료 (AA 포함)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합니다 (National Institute on Alcohol Abuse and Alcoholism, NIAAA). 


참고 자료
Blonigen, D. M., Harris, A. H. S., & Humphreys, K. (2013). Participation in Alcoholics Anonymous and other 12-step programs after formal treatment: A meta-analysis. Alcoh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37(5), E13-E22.
Humphreys, K., & Moos, R. H. (2007). Encouraging involvement in mutual help groups. In G. G.ятенко & F. L. Финч (Eds.), Evidence-based practice: A sourcebook for mental health professionals (pp. 401–415).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이봉재. (2010). 알코올 중독자의 자조집단 참여가 재발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중독범죄학회보, 6(2), 5-27.
KoreaMed Synapse. (2016). 알코올 중독자의 자조 모임 참여가 심리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JKPMHN. (2015). 알코올 중독자의 자조 모임 참여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연구.
Korea Science. (2021). 알코올 중독자의 AA 몰입도와 회복 동기와의 관계.
National Institute on Alcohol Abuse and Alcoholism (NIAAA). (n.d.). Treatment for Alcohol Use Disorder.


의견

금연을 10년 가까이 지속하고 있고, 매일 음주했던 습관에서 월 2~3회 정도로 통제가 가능한 지금의 결론은 금연은 약물치료, 금주는 AA프로그램과 같은 영적 활동이 좋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중독이 강할수록 어려움에 처하겠지만 실제로 경험한 결과는 음주는 약물 효과가 크지 않았습니다. 반면 금연은 약물의 도움을 크게 받았습니다. 금주와 금연을 결심하시는 분들은 참고해 주셨으면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