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좋은식재료

파리바게트 빵집의 밀은 어디서 가져올까? 통밀은 어디서 가져올까?

by 라임라인 2025. 3. 18.
반응형

제빵 및 제과 사업을 주로 운영하는 SPC 그룹은 다양한 종류의 밀을 수입합니다. 밀이 국내에서는 많이 생산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국내에서 밀을 많이 사용하는 업체는 라면회사와 제빵회사로 자체 공급망을 가지고 있습니다. 좋은 밀부터 저렴한 밀까지 비슷한 곳에서 수입한다는 의미입니다.

 

SPC 그룹의 밀 수입처

SK는 섬유에서 시작해 성공을 해서 정유회사까지 인수합니다. 원재료까지 그룹 자회사에서 인수해서 수익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취했기 때문입니다. 마찬가지로 SPC는 자회사를 통해 밀을 수입합니다. 밀다원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렇게 수입처를 알아보는 이유는 유럽에서 먹는 빵과 국내 빵의 소화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밀뿐 아니라 첨가되는 유제품이나 계란 등의 영향일 수도 있지만 해외에서는 소화가 더 잘 되기에 차이가 무엇인지 확인 중입니다. 


밀다원

SPC 그룹은 2008년 밀 가공업체인 밀다원을 인수했습니다. 밀다원은 국내산 밀뿐만 아니라 미국, 호주, 캐나다 등에서 수입한 밀을 가공하여 SPC 그룹 계열사에 공급합니다. 밀다원은 SPC 그룹의 밀가루 공급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유나이티드 그레인 코퍼레이션(UGC)

SPC 그룹은 미국의 곡물 중개회사인 유나이티드 그레인 코퍼레이션(UGC)을 통해 밀을 수입하기도 합니다. 이 회사를 통해 연질 백색밀, 경질 적색밀, 북부 봄 밀, 짙은 북부 봄 밀 등을 수입합니다.

 

기타 제분업체

SPC 그룹은 여러 제분업체를 통해 밀을 수입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제분업체들은 주로 미국과 호주 등에서 밀을 수입하여 SPC 그룹에 공급합니다.

 

주요 수입 국가

SPC 그룹은 주로 미국과 호주에서 밀을 수입합니다. 특히, 품질이 균일하고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한 호주산 밀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밀의 주요수입국가

 

수입 과정

SPC 그룹은 제분업체를 통해 라면의 원료이기도 한 소맥분을 구매합니다. 제분업체들은 위에서 언급한 국가들로부터 밀을 수입하여 소맥분을 생산합니다.

 

SPC 삼립의 토르티야

SPC삼립에서 판매하는 삼립 밀 토르티야의 경우, 제품 상세 정보에 따르면 또띠아 제품이므로 중력분을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SPC 그룹은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밀을 사용하며, 안정적인 밀 공급을 위해 여러 국가에서 밀을 수입하고 있습니다.

 

밀의 종류

SPC 그룹은 제품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밀을 사용합니다. 빵 제조에는 글루텐 함량이 높은 경질 밀을, 케이크나 쿠키 제조에는 글루텐 함량이 낮은 연질 밀을 사용합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SPC 그룹은 위에 소개한 미국의 곡물 중개회사 유나이티드 그레인 코퍼레이션(UGC)에서 밀을 구입하며, 매입한 밀의 종류는 연질 백색밀, 경질 적색밀, 북부봄 밀, 짙은 북부 봄밀 등이 있습니다.

 

참고, 썩은 밀가루 쥐, 뱀 사건

과거 전분에 사용하는 밀가루에 쥐가 죽었다는 기사가 나온 적이 있습니다. 러시아 밀가루 포대 사이에 방부제를 넣었고, 쥐나 뱀이 나왔다고 주장하는 기사입니다. 다른 것은 모르지만 수입되는 밀이 아닌 밀가루에 무엇인가 들어갈 수 있다는 가정이 생기는 대목입니다.

 

 

신송산업 내부고발 '썩은 밀가루 사용에 쥐·뱀까지'

사회 > 사회일반 뉴스: 국내 유일의 소맥전분 제조업체 신송산업에서 전분을 만드는데 썩은 밀가루를 투입했다는 내부고발이 충격을 주고 있다. 신송산...

www.sedaily.com

 

우리나라에서는 1992년 표백제이며 숙성제인 ADA(아조디카르본아미드, Azodicarbonamide) 외에는 사용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품공전 상 밀가루에 표백을 목적으로 과산화벤조일(희석)이 소맥분 1kg에 0.3g 이하로 사용 가능하나, 국내 제분기업들은 이를 자율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마무리

우리나라에서 밀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곳 중 한 곳인 파리바게트 SPC의 밀 수입처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봤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생산하는 통밀과 첨가물에 대한 정보가 궁금하시면 다른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